경기도박물관 특별전 《경기 사대부의 삶과 격, 지석誌石》은 5월 28일까지 연장되었습니다.
경기도박물관 특별전 《경기 사대부의 삶과 격, 지석誌石》은 5월 28일까지 연장되었습니다.
◯ 유물 대여처 : 고려대학교박물관, 국립공주박물관, 국립중앙도서관,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한국도자재단 경기도자박물관
경기문화재단 경기도박물관은 오는 12월 7일부터 내년 5월 28일까지 「경기 사대부의 삶과 격, 지석誌石」특별전을 개최한다.
이번 특별전은 경기도박물관 대표 유물 중 하나인 조선시대 지석을 종합적으로 소개하는 첫 전시로서, 소장품 1,300여점 중 상당수를 엄선하였다. 지석은 죽은 사람의 인적사항, 무덤의 위치와 방향坐向 등을 적어서 무덤에 묻은 판판한 돌板石이나 도자기판陶板을 가리키는데, 조선왕조의 법전인 『경국대전』과 『국조오례의』에는 지석 제작․매납 방법이 따로 기재되었을 정도로 중요한 지배층 예절 문화의 일부였다. 경기도에서 출토된 지석에는 조선시대 국가 운영의 핵심이었던 경기 사대부들의 삶과 가치관, 그들의 죽음을 대하는 태도 등이 생생하게 글로 새겨져 있다.
전시 내용은 지석의 의미와 유래, 그리고 그에 담긴 사대부들의 삶과 후손 이야기 등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는데, 황희 정승의 아들 황수신, 『경국대전』 편찬에 참여했던 서거정, 임진왜란 좌의정으로 선조를 보필한 유홍, 효종 대 무장으로 북벌을 추진한 우의정 이완 등 역사 속 인물 수십 명과 그들에 대한 기록인 지석 700여 점이 전시된다. 지석은 무덤 속에 묻혔던 인물사 기록이므로 현대인들에게 다소 생소할 수 있는 유물이지만, 지석의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면 우리에게 익숙한 역사적 인물과 사건을 마주할 수 있다.
1부. 禮를 다하다는 유교를 기본 통치이념으로 삼은 새로운 왕조 조선이 유교의 상장례의 하나인 지석을 국가적 차원으로 권장한 배경과 도자 지석의 시작을 살펴본다. 『국조오례의』「흉례」에서는 구체적으로 지석의 내용을 명시하고 있고, 이는 남송의『주자가례』에 따른 것이다. 이렇게 조선시대 전 기간 사대부들의 지석은 도자 지석이 주로 만들어졌다.
2부. 삶을 기록하다는 도자 지석의 변화와 흐름을 알 수 있게 각 시대별 주요 유물을 소개한다. 15세기는 고려의 전통인 불교적 색채가 있는 분청사기 지석과 새로운 유교의 규범에 따른 백자 지석이 공존한다. 보물 제1768호 <백자 흥녕부대부인 지석>(고려대학교박물관 소장)은 세조의 장모인 인천이씨(1383~1456)의 지석으로 조선에서 최초로 만들어진 청화백자 지석이다. 그리고 <백자 황수신 지석>은 경기도 광주의 왕실 관요(官窯)가 설치되는 1467년에 제작된 의미있는 지석이다. 지석은 글을 새겨넣는 방법에 따라 음각, 상감, 청화, 철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한다. 각 시기별 상황에 따라 최선의 방법을 선택하여 예와 효의 도리를 다하는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17세기 전반 전란으로 어려웠던 시기 만들어진 <백자 이종린 지석>은 철화 안료로 지어졌다. 왕실의 종친이자 사옹원 제조였던 이종린을 위해 정성스레 만들어진 가치를 인정받아 경기도문화재자료(제 136호)로 지정되었다. 18세기 사회의 안정으로 청화백자 지석이 유행하게 되는데 <백자 민백복 지석과 지석함>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3부. 사대부의 정신을 잇다는 조선 후기 경기 사대부의 면면을 살피기 위해 5개 가문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효종~현종년간 두 임금을 보필하며 북벌 추진을 뒷받침했던 심지원의 <청송심씨 인수부윤공파 종중>, 용인현 산의실에 대대로 세거하며 중앙 남인세력으로 활동했던 <청송심씨 사평공파 종중>, 인조 반정 이후 중앙 벌열로 현달하며 세도의 중심이었던 <풍양조씨 회양공파 종중>, 18세기 탕평정치를 뒷받침했던 유직기의 <기계유씨 종중>, 서울 경기지역 노론 낙론 학맥의 으뜸가는 학자를 배출한 홍직필의 <남양홍씨 종중>의 이야기를 펼친다. 이들은 모두 서울·경기지역에 세거하며 조선의 정치 문화에 큰 영향을 남겼다. 정성껏 제작한 지석을 통해 선조들이 남긴 삶의 가치를 전했고 행적을 추모했다. 아울러 초상화와 저술 등을 통해 사대부 가문의 품격을 높혔다.
이번 특별전은 공립박물관 중 지석을 가장 많이 소장한 경기도박물관이 모처럼 국내의 대표적인 조선시대 지석들을 한 곳에 모아 선보이는 자리이다.
“예禮는 그 본질인 정신精神뿐 아니라 이를 표현하는 의례儀禮 형식도 똑같이 중요하다”
주자朱子의 실천 윤리
분청사기상감 김명리 지석
粉靑沙器象嵌 金明理誌石
1439년 (세종 21) 안동김씨 문온공파 위탁, 보물 제1830호
백자청화 흥녕부대부인 지석
磁靑畵 興寧府大夫人 誌石
1456년(세조2), 파평윤씨 정정공파 교하종중 소장, 고려대학교박물관 관리, 보물 제1768호
백자청화 황수신 지석
白磁靑畵黃守身誌石
1467년(세조 13), 장수황씨 열성공파 기증, 경기도유형문화재 제358호
백자청화 이완 지석
白磁靑畵李浣誌石
1689년(숙종 15), 경주이씨 국당공파 기증
석제 유한갈 지석
石製兪漢葛誌石
1795년(정조 19), 기계유씨 유승선 기증
경기문화재단(이하 ‘재단’)은 정보주체의 자유과 권리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경기문화재단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지지씨멤버스(members.ggcf.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