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경기도무형문화재 공개행사
경기도박물관에서는 경기도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들의 전시 “예술혼의 향연(饗宴)”의 연계하여 다음과 같은 공개행사를 마련하였습니다. 오는 10월 26~27일, 양일에 걸쳐 경기도박물관 중앙홀에서 경기무형문화재로 지정된 기능보유자들의 아래와 같은 6종목의 공예품 시연을 선보입니다. 더불어 27일에는 경기도박물관 야외무대에서 경기도무형문화재 제 22호 고양송포호미걸이, 제 27-가호 상여·회다지소리(양주), 제 27-다호 상여·회다지소리(양평)의 예능공연도 있을 예정입니다. 현 경기도무형문화재를 한 자리에서 살필 수 있으며 기회로 보다 유익한 시간이 될 것입니다. 많은 참여 바랍니다.
일정 | 무형문화재명 | 보유자명 | 내용 |
---|---|---|---|
10/26 (토) |
제30-나호 악기장-현악기 | 최태순 | 기러기 발(안족) 깎기 |
제41-가호 사기장-백자 | 서광수 | 전통방식 물레작업, 도자기 빚기 | |
제42-가호 석장-조각 | 박찬봉 | 불두 상호(얼굴) 및 나발(머리카락) 조각 | |
10/27 (일) |
제11호 조선장 | 김귀성 | 황포 돛배, 모형배 만들기 |
제28호 단청장 | 김종욱 | 모루단청 문양 그리기 | |
제37호 옹기장 | 김용호(조교) | 질(흙)가래 작업, 질판 쌓기, 옹기 표면 작업 |
일정 | 무형문화재명 | 보유자명 | 내용 |
---|---|---|---|
10/27 (일) |
제 22호 고양송포호미걸이 |
고양송포호미걸이 보존회 |
호미걸이란 농민들이 지역 노동공동체인 두레를 조직하여 김매기를 마치고 날을 잡아 서낭당에 제사를 지내고 농악을 치면서 놀이를 벌이는 마을 잔치이다. 지역에 따라 호미걸이, 호미씻이, 파접, 두레먹기, 길먹기, 풋굿, 술 먹이는 날, 쉬는 날 등으로 불린다. 풍년을 부르는 호미걸이소리는, 김매기를 하기 위하여 마을에서부터 논에까지 지신을 밟는 길놀이를 하면서 시작하고 모내기, 김매기, 상산제, 대동고사, 대동놀이, 유가제, 뒷풀이의 인사굿으로 마무리한다. |
제 27-가호 상여·회다지소리(양주) |
상여᠂회다지소리 보존회-양주 |
양주 상여᠂회다지소리는 양주시 백석읍 고능말에서 전승되어 내려 온 만가이다. 우리 민족은 죽음을 맞는 의식은 호상이 되게 하여 장례를 치르며 노래를 불러왔다. 장례는 슬픔으로만 일관 할 것이 아니라 새로운 생명으로 태어나는 것에 대한 축복의 이식이 죽은 조상이나 산 자손에게 모두 복이 되는 일이라 생가하였기 때문이다. 죽은 사람을 슬퍼하며 상여가 나갈 때 긴상여소리, 오호소리, 자진상여소리를 부르고 상여가 장지에 당도하면 회다지소리를 부른다. |
|
제 27-다호 상여·회다지소리(양평) |
최원산 | 양평 상여᠂회다지소리 보존회의 상여소리는 긴상여소리이며 회다지소리는 옥설가이다. 양평군 양동면 석곡리에서는 초상이 나면 3일장 이나 5일장을 치룬다. 출상 전날밤에 상여를 빈대를 메고 상여꾼들이 소리를 하고 놀이를 벌이는데 이를 ‘대도듬’이라 한다. 집에 상여가 당도하면 관중 하관하고 환지꾼들이 홁과 회를 붓고 세 번 회다지 하며, 회다지는 관중다지 2회, 봉군다지 3회 또는 약식 1호를 한다. |
제11호 조선장 김귀성
제28호 단청장 김종욱
제30-나호 악기장-현악기 최태순
제37호 옹기장 김용호(조교)
제41-가호 사기장-백자 서광수
제42-가호 석장-조각 박찬봉
제22호 고양송포호미걸이보존회
제27-가호 상여회다지소리-양주
제27-다호 상여회다지소리-양평
경기문화재단(이하 ‘재단’)은 정보주체의 자유과 권리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경기문화재단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지지씨멤버스(members.ggcf.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