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박물관
  • 안내
    • 관람안내
    • 단체관람
    • 시설안내
    • 뮤지엄샵
    • 대관안내
    • 오시는길
  • 전시
    • 상설전시
    • 특별전시
    • 온라인전시
  • 교육·행사
    • 교육
    • 문화행사
  • 소장품
    • 소장유물
    • 기증안내
    • 기증자현황
  • 학습·출판
    • 발간자료
    • 영상
    • 기타자료
  • 소식·참여
    • 공고
    • 새소식
    • 고객상담
    • 보도자료
    • 후원하기
  • Language
    • Korean
    • English
    • Chinese
    • Japanese
경기도박물관
  • 안내
    • 관람안내
    • 단체관람
    • 시설안내
    • 뮤지엄샵
    • 대관안내
    • 오시는길
  • 전시
    • 상설전시
    • 특별전시
    • 온라인전시
  • 교육·행사
    • 교육
    • 문화행사
  • 소장품
    • 소장유물
    • 기증안내
    • 기증자현황
  • 학습·출판
    • 발간자료
    • 영상
    • 기타자료
  • 소식·참여
    • 공고
    • 새소식
    • 고객상담
    • 보도자료
    • 후원하기
  • 소식·참여

    • 안내
    • 전시
    • 교육·행사
    • 소장품
    • 학습·출판
    • 소식·참여
  • 공고

    • 공고
    • 새소식
    • 고객상담
    • 보도자료
    • 후원하기

대보름맞이 행사 – 지신밟기 공연안내 (2월 7일)

  • 등록일
    2001.02.01
  • 조회수
    258

 
족의 명절 대보름을 맞이하 여 경기도 민속놀이 중 하나인 지신밟기를 실시합니다.

지신 을 눌러 악귀와 잡신을 물리치고 마을의 안강과 풍작 및 가정의 다복과 축원을 바 라던 선인들의 뜻과 같이, 올해 도민들의 각 가정에 행운만이 가득하길 바라는 마 음으로 이번 공연을 준비하였으니 많은 참여바랍니다.

○ 일 시 : 2001년 2월 7일 수요일 오후 2시∼4시
○ 장 소 : 경기도박물관 강당/무료공연
○ 공 연 단 : 사물놀이 설악
○ 내 용 : 지신밟기, 태평소와 사물, 웃다리 사물놀이, 경 기민요(잦은방아타령, 한강수 타령, 뱃노래), 판굿
★ 공 연 자 료 ★


  1. 1) 지신밟기

    대보름 놀이중 하나로 지신을 진압함으로서 악귀와 잡신을 물리 치고 마을의 안강과 풍작 및 가정의 다복을 축원하는 목적으로 하는 신앙적 마을 행사이다. 꽹과리, 징, 북, 장구, 쇠납 등의 민속악기로 구성된 풍물을 선두로 소고 패, 양반, 하동(河童), 포수, 머슴과 탈을 쓴 각시 등이 당산(堂山)굿을 비롯하여 집집마다의 지신을 밟으면서 지신풀이 가사를 창하며 춤과 익살, 재주를 연회하 는 것으로 마을의 지신에 대한 공연적 성격을 띤 놀이이다. 지신밟기 패가 자기집 에 당도하면 주인은 주, 과, 포 등으로 구성된 고사상을 차리고 또 주식을 대접하 며 전곡을 성의대로 희사하면 그것을 모아 마을의 공동비용으로 사용한다.

    2) 태평소와 사물

    시나위란 남도지방의 무속음악을 합주 하는 것으로서 각 악기가 세부적인 약속없이 즉흥적으로 연주되는 불협화음 속에 서 조화를 이루는 것이 특징이라 하겠다. 연주 중에 독주 부분이 있어 각 악기의 특징을 잘 표현하는 점도 매우 흥미로운데 이 곡은 시나위를 태평소로 연주하는 것으로서 태평소 외에 북, 장구, 꽹과리, 징 등 타악기가 함께 연주되기 때문에 매 우 흥겹고 경쾌하다. 장단은 굿거리, 자진모리, 엇모리, 휘모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3) 웃다리 사물놀이

    웃다리라 함은 경기, 충 청지역을 말하는데 이 웃다리 쪽은 꽹과리 가락이 발달되어 사물놀이 중에서도 대 미를 장식하는 짝쇠로서 사물공연을 마무리하고 있다. 장단은 찍찍이 타령, 칠채, 마당일채, 마당삼채, 짝쇠 등0?있다.

    4) 경기민요

    ◈ 잦은방아타령

    선소리에 속하는 소리로서 선소리 산타령을 부르고 난 뒤에 잇대어 부르는 소리이다.

    ◈ 한강수 타령

    이 곡은 서 울지방에서 많이 부르는 노래로서 한강에 배를 띄우고 유유자적 뱃노래를 하여 대 자연을 읊으며 선유하는 모습을 담아 노래한 것이다.

    ◈ 뱃노래

    이 노래는 경상도 지방의 민요인데 서울지방에서 더 많이 부르고 있다. 어부 들의 상태를 엮은 동해안의 노래에 속한다고 볼수 있겠다.

    5) 판 굿

    사물놀이는 야외에서 연주되던 풍물굿을 실내에서도 연주 될 수 있도록 꽹과리, 징, 북, 장구의 4가지 악기로만 편성된 타악곡을 말한다. 경 기, 충청일대 농악은 꽹과리 가락이 중심이 되고 호남농악은 장구가 중심이 되어 연주되는데 흥이 겨워 움직이는 율동과 각 악기가 잘 조화를 이루며 연주되는 생 동감이 넘치는 곡이다.

    지금까지의 사물놀이 음악이 특히 귀를 통해 즐 거움을 실어다 준 것이라면 판굿은 눈과 귀를 통해 무궁무진한 재미를 실어오는 순서다. 농악가락 뿐만아니라 춤과 기예,노래, 놀이 등을 골고루 섞어가며 각자 보 여주고 들려줄수 있는 최선의 재능을 보여주는 장인인 것이다. 상쇠놀이, 장구놀 이, 북놀이, 상모놀이, 12발 상모돌리기 등 익히 보아오던 갖가지 놀이가 펼쳐진 다.
목록으로
닫기

개인정보처리방침

경기문화재단(이하 ‘재단’)은 정보주체의 자유과 권리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경기문화재단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지지씨멤버스(members.ggcf.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경기도박물관 경기문화재단 경기도청
(재)경기문화재단 경기도박물관 / (17072)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갈로 6 (상갈동)
대표전화 031-288-5300 / 관람안내 031-288-5400 / FAX: 031-288-5339
사업자등록번호 : 142-82-01158
개인정보 처리방침

© Copyright GGCF.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