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간
- 2025-11-27(목) ~ 2026-03-08(일)
- 장소
- 1F 기획전시실
- 기획
- 경기도박물관
- 참여작가
- 오세창, 강감찬, 김정희, 신사임당, 정약용 등
- 주최주관
- 경기문화재단 경기도박물관
특별전시
〈광복 80-합合〉 특별전 제3부 《오세창: 무궁화의 땅에서》

2025〈광복 80-합合〉 특별전 제3부《오세창: 무궁화의 땅에서》
In The Land of Eternal Blossoms: Oh Se-chang and the Legacy of Cultural Independence
[기획의 글]
2025년은 광복 8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경기도박물관은 이 뜻깊은 해를 맞아 위창 오세창(1864-1953)의
삶과 예술 그리고 독립운동을 조명하는 특별전을 개최합니다.
개화기부터 일제강점기를 거쳐 해방까지, 반세기가 넘는 격동의 시대를 살아낸 위창은
개화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서화가이자 수장가, 언론인이자 예술인으로서 여러가지 역할을 수행하며
대한민국 근현대 문화 형성의 주춧돌을 놓은 인물입니다.
'문화보국(文化保國)'은 위창의 생애를 관통하는 주제어입니다.
전통이 뿌리째 흔들리던 시대, 그는 꺾이지 않는 손으로 그 맥을 붙들었습니다.
이번 전시는 그 삶과 실천을 조명하고자 합니다.
위창 오세창은 격변하는 시대의 흐름을 온전히 마주했던 인물입니다.
조선의 개화기에는 진취적인 개화운동가였으며,
대한제국기에는 항일정신을 고취시킨 언론 활동가였습니다.
일제강점기에는 민족 대표 33인 중 한 사람으로 독립운동의 중심에 섰으며,
우리 문화의 자주성을 지키기 위해 애쓴 선구자이기도 했습니다.
특히 그가 모아 전한 수많은 글과 그림은 오늘날 ‘K 컬처’의 근간이 되었습니다.
이 전시는 오세창의 삶을 다양한 각도에서 조명하며, 그가 남긴 정신적 유산을 되짚고자 합니다.
시대와 예술을 꿰뚫은 실천가, 위창을 새롭게 만나는 여정의 시작입니다.
[제 1부: 개화와 독립 – 역매亦梅 · 위창葦滄의 시대]
위창 오세창과 그의 아버지 오경석(1831-1879)의 삶을 통해 근대 전환기의 시대상을 조망합니다.
개화기부터 일제강점기에 이르는 격변 속에서 부자가 걸어간 길이 어떻게 맞닿아 있었는지를 보여줍니다.
[제 2부: 형태로 새긴 의미 – 금문金文 탐구와 전각篆刻 예술]
오세창이 몰두한 금문 연구와 전각 활동을 중심으로,
문자에 담긴 형과 뜻을 예술로 승화시키고자 한 그의 탐구 정신을 조명합니다.
[제 3부: 수장守藏의 길 – 문화 독립을 향하여]
오세창이 생애 동안 수집하고 편찬한 고서화와 금석 자료를 소개합니다.
일제강점기라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우리 문화의 계보를 지켜내려 했던 그의 실천이 담겨 있습니다.
[제 4부: 붓 끝으로 시대를 견디다 – 오세창의 글씨과 동시대 예술]
'오세창의 글씨와 동시대 예술'은 예술가로서의 오세창을 조명합니다.
전서와 예서를 넘나든 그의 서예 세계와 더불어,
동시대 예술가들과의 교류를 통해 드러나는 문화적 저항의 흔적을 살펴봅니다.
[전시 개요]
◦ 전 시 명: 《오세창: 무궁화의 땅에서》
In the Land of Eternal Blossoms: Oh Se-chang and the Legacy of Cultural Independence
◦ 기간 : 2025. 11. 27. 목 – 2026. 3. 8. 일 (102일, 매주 월요일 휴관)
◦ 장소 : 경기도박물관 기획전시실 1(약 500㎡)
◦ 주최·주관 : 경기문화재단, 경기도박물관
◦ 전시유물 : 오세창이 수집해 엮은 『근묵』, 『근역서휘』, 『근역화휘』 등에 실려 있는 강감찬, 김정희, 신사임당, 정약용, 한석봉 등의 글과 글씨 90여 점
◦ 대여·협력 : 간송미술관,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전주박물관, 성균관대학교박물관, 서울대학교박물관, 서울서예박물관 등
◦ 기획 : 정윤회 선임학예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