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자청화 용문병
무게중심이 병 저부에 있고 목이 가늘고 길게 올라가다가 외반되지 않고 마무리되는 전형적인 조선후기의 병 형태이다. 몸통 전면에 청화로 용을 그렸는데 매우 역동적이며 구름 속에서 네 개의 발톱을 세우고 여의주를 희롱하는 모습을 하고 있다. 긴 목 병은 조선후기 광주 분원리 시기의 특징적인 기형으로서 보조문양을 쓰지 않고 동부의 여백을 이용하여 회화적인 문양구성을 보이는 특징이 있다. 설백색의 태토에 밝은 청화발색을 보이며 비교적 정교하고 사실적으로 그려 넣었다. 굽은 낮고 넓은 안정감 있는 굽에 청화선문을 한 줄 두르고 안굽처럼 굽 안바닥을 깊이 파고 검은색 가는 모래를 받쳐구웠다. 유색은 푸른기가 적고 거의 백색을 띄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