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박물관
  • 안내
    • 관람안내
    • 단체관람
    • 시설안내
    • 뮤지엄샵
    • 대관안내
    • 오시는길
  • 전시
    • 상설전시
    • 특별전시
    • 온라인전시
  • 교육·행사
    • 교육
    • 문화행사
  • 소장품
    • 소장유물
    • 기증안내
    • 기증자현황
  • 학습·출판
    • 발간자료
    • 영상
    • 기타자료
  • 소식·참여
    • 공고
    • 새소식
    • 고객상담
    • 보도자료
    • 후원하기
  • Language
    • Korean
    • English
    • Chinese
    • Japanese
경기도박물관
  • 안내
    • 관람안내
    • 단체관람
    • 시설안내
    • 뮤지엄샵
    • 대관안내
    • 오시는길
  • 전시
    • 상설전시
    • 특별전시
    • 온라인전시
  • 교육·행사
    • 교육
    • 문화행사
  • 소장품
    • 소장유물
    • 기증안내
    • 기증자현황
  • 학습·출판
    • 발간자료
    • 영상
    • 기타자료
  • 소식·참여
    • 공고
    • 새소식
    • 고객상담
    • 보도자료
    • 후원하기
  • 소장품

    • 안내
    • 전시
    • 교육·행사
    • 소장품
    • 학습·출판
    • 소식·참여
  • 소장유물

    • 소장유물
    • 기증안내
    • 기증자현황

소장유물

철제무기류

  • 유형고고유물
  • 작가(출처)용인 임진산성
  • 제작연도조선시대
  • 크기길이(L)25.4~37.8㎝
  • 소장품 번호철제무기류
relic01

용인 임진산성(壬辰山城)에서 출토된 철제 무기류(武器類)로 철모(鐵矛)와 철도(鐵刀) 등이 있다. 모(矛)는 찌르기 위한 무기로서 봉부(鋒部)와 공부(?部)로 구성된다. 철모의 봉부는 능형(菱形), 이등변삼각형, 마름모꼴 등 다양한 단면 형태를 띤다. 이들 철모는 일반 고분에서 출토되는 모에 비하여 훨씬 큰 형태여서 수성용(守城用)으로 생각된다. 철도는 직배식(直背式)으로 소형인데, 선단부(先端部)와 경부(莖部)가 결실되었다. 도부(刀部)는 단인(單刃)으로 배부(背部)가 위쪽으로 약간 휘어졌고 날등이 있다. 임진산성에서 출토된 철제 무기류는 임진왜란 중에 조선군이 실제 전투에서 사용한 것으로 당시 병기연구의 중요한 자료가 된다.

다른 유물 보기

files01

민속공예

유한갈의 무덤에서 나온 지석

files01

복식

김확의 무덤에서 나온 심의

files01

서화

허전 초상

files01

복식

장옷

files01

복식

저고리와 재현품

files01

복식

한삼과 바지

files01

복식

중치막

files01

복식

철릭

files01

복식

단령

files01

복식

바지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닫기

개인정보처리방침

경기문화재단(이하 ‘재단’)은 정보주체의 자유과 권리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경기문화재단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지지씨멤버스(members.ggcf.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경기도박물관 경기문화재단 경기도청
(재)경기문화재단 경기도박물관 / (17072)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갈로 6 (상갈동)
대표전화 031-288-5300 / 관람안내 031-288-5400 / FAX: 031-288-5339
사업자등록번호 : 142-82-01158
개인정보 처리방침

© Copyright GGCF. ALL RIGHTS RESERVED.